Posted by June 18 2020 / kubernetes
Kubernetes의 사용자들
Updated on March 30 2024
3303 words
7 minutes read

... visits

우리는 어떻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일까?

쿠버네티스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면, 보통 CLI 기반의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한다.
만약 MacOS에 Docker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다면,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바로 사용해볼 수 있기 때문에 당장 kubectl 설치해서 쿠버네티스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.

$ kubectl get nodes

NAME             STATUS   ROLES    AGE    VERSION
docker-desktop   Ready    master   128d   v1.15.5

이 결과는 내 컴퓨터 환경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실행되고 있다 보니 당연하게 여겨질 수 있다.
하지만 실제 원격 서버에 구성된 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근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이 상황은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개수와 관계없이 실제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API에 공인 IP 또는 도메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.

kubectl 명령어는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클러스터 환경 정보를 $HOME/.kube/config 파일이나 KUBECONFIG환경 변수에 지정된 설정 파일을 참조한다.

이 쿠버네티스 설정(이하 kubeconfig)은 크게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.

  • clusters : 쿠버네티스 API 서버 정보(IP 또는 도메인). 이름 그대로 여러 클러스터를 명시할 수 있다.
  • users : 쿠버네티스 API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목록. 아래에서 살펴볼 예정이지만 인증 방식에 따라 형태가 다를 수 있다.
  • context : clusters 항목과 users 항목 중에 하나씩 조합해서 만들어진다. 즉, 여러 개의 컨텍스트가 나올 수 있다. 결국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“어떤 Cluster에 어떤 User가 인증을 통해 쿠버네티스를 사용한다.”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.

정리하자면 kubectl은 kubeconfig에 정의된 Context 중 하나를 이용해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근한다. 당연히 이 Context에 명시된 사용자(User)는 인증을 거쳐야 접근이 허용된다.
인증 절차를 위해 쿠버네티스는 여러 가지 인증 모듈을 플러그인처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다.
활용할 수 있는 인증 방법은 ‘X.509 인증서’, ‘파일 기반 토큰 목록’, ‘파일 기반 비밀번호 목록’, ‘OpenID 연결 토큰’, ‘웹 훅 토큰’, ‘프록시’, ‘ServiceAccount 토큰’ 방식이 있다.

전부 다 사용할 필요는 없겠지만 ‘X.509 인증서‘와 ‘ServiceAccount 토큰’ 방식이 가장 기본이 되는 인증 방식이라고 생각한다.

특히 ‘X.509 인증서’ 방식은 쿠버네티스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데, 마스터 노드 서버에서 직접 kubectl을 실행할 때 kubectl이 참조하는 kubeconfig 파일에는 인증서 내용이 직접 들어가 있다. (인증서 내용은 BASE64로 인코딩되어 있다)

이 인증서는 마스터 노드의 /etc/kubernetes/pki디렉터리에 있는 ca.crt를 루트 인증서로 하여 만들어진 하위 인증서 중 하나이다. 이 하위 인증서가 생성될 때 사용자(User)와 그룹(Group)이 지정되는데 이 때 그룹명으로 지정된 system:masters라는 값이 실제 쿠버네티스에 존재하는 cluster-admin이라는 ClusterRole에 연결되어 관리자 권한을 갖게 된 것이다.

여기서 그룹을 표현한 system:masters라는 문자열과 권한을 정의한 ClusterRole 오브젝트와 Role을 연결하는 ClusterRoleBinding 오브젝트는 다음 단락에서 알아본다.

결론은 쿠버네티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사용하기로 한 인증 방식에 따라 인증을 거쳐야 하며, 인증을 마친 사용자는 적절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을 거치게 된다.

따라서 외부에서 kubectl로 쿠버네티스 클리스터에 접근하려면 먼저 kubeconfig 파일에 Cluster 정보와 인증을 받을 User 정보를 추가하고, 그 조합된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통신한다.

[TIP] 쉽게 kubeconfig 설정하는 방법

kubeconfig 파일을 직접 수정해서 Cluster, User, Context 항목을 입력해도 되지만, $ kubectl 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편리하다.

▶︎ 모든 Context 확인하기

$ kubectl config get-contexts

▶︎ 현재 Context 확인하기

$ kubectl config current-context

▶︎ 새로운 Context 만들기

$ kubectl config set-context new-context --cluster=local-kubernetes --user=jonnung

▶︎ Context 바꾸기

$ kubectl config user-context new-context

▶︎ kubeconfig 설정 전체 보기

$ kubectl config view

쿠버네티스의 서비스 어카운트(Service Account)

서비스 어카운트(Service Account)는 쿠버네티스 상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이며, 네임스페이스에 마다 각각 정의할 수 있다.
각 네임스페이스에는 기본적으로 default 서비스 어카운트가 자동으로 생성된다.

$ kubectl describe sa -n testbed default

Name:                default
Namespace:           testbed
Mountable secrets:   default-token-s6v58
Tokens:              default-token-s6v58
# 중략

서비스 어카운트를 만들면 JWT 토큰이 자동으로 함께 생성되어 쿠버네티스 Secret 오브젝트에 저장된다.

$ kubectl describe secret -n testbed default-token-s6v58

이 토큰은 쿠버네티스 API에 인증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.
위 명령어 실행 결과에 출력된 JWT 토큰을 복사해서 쿠버네티스 API 서버로 HTTP 요청을 보낼 때 Authorization: “Bearer {토큰값}” 헤더로 실어 보내게 된다.

하지만 default 서비스 어카운트는 쿠버네티스 API와 통신은 성공했지만, 권한이 없다는 응답을 받게 된다. 그 이유는 적절한 역할(Role)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자세한 설명은 아래 RBAC에서 알아볼 수 있다.

쿠버네티스의 사용자(User)

쿠버네티스에는 사용자(User) 개념은 존재하지만 단지 추상적인 의미로 사용되며, 내부에 따로 저장되는 데이터가 아니라 단순히 문자열로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써 사용된다.

위에서 다룬 인증 과정 중 X.509 인증서를 활용했다고 가정해보자. 만약 하위 인증서를 만들 때 CN(Common Name)으로 ‘jonnung’이라고 명시했다면, 이 인증서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는 쿠버네티스 상에 User라는 개념에 따라 ‘jonnung’으로 지칭할 수 있게 된다.

서비스 어카운트(Service Account) 도 User 개념에 포함된다. 따라서 서비스 어카운트도 위 예시처럼 system:serviceaccount:<네임스페이스 이름>:<서비스 어카운트 이름>라고 User로써 지칭할 수 있다.

쿠버네티스의 그룹(Group)

그룹(Group) 역시 사용자(User)와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개념으로 존재한다.
따라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에서 그룹을 지칭하기 위해서는 사용자(User)처럼 문자열 형태로 표현된다.

그룹 중에는 쿠버네티스에서 미리 정의해 둔 system: 접두사로 시작하는 그룹이 존재한다.

  • system:unauthenticated : 인증을 거치지 않은 사용자
  • system:authenticated : 성공적으로 인증된 사용자
  • system:serviceaccounts : 클러스터 전체에 있는 모든 서비스 어카운트
  • system:serviceaccounts:<네임스페이스 이름> :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모든 서비스 어카운트

역할을 기반으로 접근을 제어한다 (RBAC: Role Based Access Control)

쿠버네티스 내부에서 사용자로서 식별할 수 있는 3가지 개념에 대해 알아봤다.
이 사용자가 쿠버네티스 API와 통신하기 위한 인증(Authentication)은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쿠버네티스 오보젝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권한(Athorization)이 필요하다.

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Role을 정의하고, 그 역할을 사용자에게 연결(Binding)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
이 Role은 2가지로 구분되는데 차이점은 네임스페이스에 속하는 Role인가 아니면 클러스터 전체에 속하는 Role인지로 구분된다.

  • Role :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속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권한을 정의
  • ClusterRole : 클러스터 전체에 모든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권한을 정의

아래 Role 매니페스트를 보면 rules항목에 정의된 apiGroups, resources, verbs를 통해 어떤 리소스에 어떤 동작을 허용할 지 지정한다.

apiVersion: rbac.authorization.k8s.io/v1
kind: Role
metadata:
  namespace: default
  name: nodes-reader
rules:
- apiGroups: [""]
  resources: ["nodes"]
  verbs: ["get", "list"]        
  • apiGroups : 쿠버네티스의 오브젝트가 가지는 목적에 따라 분류되는 카테고리
  • resources : 권한을 정의할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명
  • verbs :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정의

ClusterRole의 경우 위에서 정의한 Role 매니페스트에서 kind 값만 ClusterRole로 바꾸면 된다.
ClusterRole은 네임스페이스와 연관 없는 리소스나 네임스페이스마다 공통된 역할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역할을 다시 정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.

마지막으로 Role과 ClusterRole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브젝트는 RoleBindingClusterRoleBinding이 있다.

여기서 지정하는 사용자는 위에서 먼저 다뤘던 3가지 개념의 사용자가 될 수 있다.
아래 ClusterRoleBinding 매니페스트에는 사용자로 SerivceAccount가 지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.

apiVersion: rbac.authorization.k8s.io/v1
kind: ClusterRoleBinding
metadata:
  name: nodes-reader
  namespace: default
subjects:
- kind: ServiceAccount
  name: jonnung
  namespace: default
roleRef:
  kind: ClusterRole
  name: nodes-reader
  apiGroup: rbac.authorization.k8s.io

참고

comments powered by Disqus
TAGS
On this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