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책 읽고 정리] ‘MongoDB 완벽 가이드’의 5장 인덱싱
MongoDB 인덱스에 대해 효과적인 인덱싱 전략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“Selectivity(선택성)“를 높이는 것이다. 즉, 최대한 좁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도록 인덱스를 만들어야 한다.
AWS RDS Proxy로 RDS 인스턴스 다운 타임을 최소화하기
AWS RDS 인스턴스를 수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운 타임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.
[책 읽고 정리]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(Part1)
작은 서비스를 만들 때는 일단 잘 돌아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. (일단 대충 돌아가게 하는 것과는 다르다)
그래야 나와 함께 손발을 맞추는 동료들이 너무 오래 기다리지 않고,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으니 말이다.
그렇게 서비스가 커지고 사용자도 늘어나면서 나중을 상상해보곤 한다.
‘이 설계가 그때는 맞았지만 나중에도 맞을까?’, ‘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들어오면 괜찮을까?’
물론 아무런 준비도 안 되어 있는 건 아니지만, 가끔 드는 불안감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.
그럴 때는 뭐라도 하는 게 맞으니까…
2021년 회고
도저언 작년에도 이직이 핵심 이벤트였는데 올해 한번 더 이직을 했다. 다른 이유보다 지금 아니면 이런 경험을 못 할 것 같았다.
이렇게 된 계기는 2020년 말에 시작되었다.
오랜만에 반가운 연락이 왔고, 가볍게 가진 몇 번의 만남을 통해 호기심과 기대감 그리고 열정 같은 것이 생겼던 것 같다.
그리고 이 결정을 통해 내가 지나온 시간과 앞으로 보낼 시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고민했다.
위험할 수 있지만 감수할 수 있을 만큼 가치가 있을까?
세 번째 배우는 Go - 파트 1: 설치와 패키지 관리
Go 컴파일러를 설치하는 평범하지? 않은 방법을 소개하고, Go의 패키지 의존성 관리 방법과 원리를 알아본다.
ASGI와 Uvicorn 그리고 Gunicorn과 함께 사용하기
ASGI와 Uvicorn의 관계, 그리고 왜 Uvicorn을 사용하는 지, 실제 운영환경에서 Uvicorn을 어떻게 실행하면 좋은 지 알아봅니다.
로컬 개발 환경에서 Tilt를 이용한 신속한 빌드/배포
로컬 개발 환경에서 Kubernetes를 이용해 마이크로서비스를 개발할 때 빌드, 배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도와주는 Tilt라는 도구를 소개합니다.
Kubernetes Cluster API 따라하며 이해하기
Kubernetes Cluster API가 무엇이고, 왜 필요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사용되는지 가볍게 알아봅니다.